전체 글 1550

진동 협성 엠파이어 아파트의 신나는 행사 이야기

저는 경남 마산 진동 주민입니다. 아파트에 살지만 농지가 많은 지역입니다. 총 537세대가 모인 아파트인데, 지구를 살리는 활동에 동참하기 위해 매달 소등행사를 하고 있습니다. 불 끄는 행사만 하니 재미가 없었고, 내려오신 분들이 그냥 걷다가 들어가는 게 안타까웠습니다. 입주자 대표회의에서 예산을 확보해 지난 달부터 무료로 수박을 나눠드렸습니다.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나오셔서 수박을 나눠먹으며 이웃분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소등행사에 참여하는 세대가 늘어나고 있으니, 8월에는 한번 제대로 놀아보자 싶어 노래자랑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스마일 주민자치회에서 주관했습니다. 스마일 주민자치회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마을 공동체 활동에 동참하는 분들로 구성된 자발적 자생단체입니다. 7월 수박나눔행사를..

섬을 좋아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최정선 작가의 을 읽었습니다. 시민기자로도 활동 중인 그가 470개 정도 되는 통영의 섬 중 유인도인 41개 섬을 직접 방문해 쓴 책입니다. 쉽게 입도할 수 없는 곳이 대부분이지만 섬을 알리고 섬이 행복하게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책을 집필했다고 합니다. 특이한 것은 작가의 고향은 통영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부산이 고향인데 결혼을 하며 통영으로 왔습니다. 지역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이만큼 애정을 가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통영 섬에 대한 작가의 애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을 굳이 분류하자면 여행 에세이 정도 되겠습니다. 인적이 드문 섬들을 방문해 아름다운 사진과 감수성 넘치는 문장들로 엮었습니다. 섬에 들어가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돼 여행 가이드책으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바다가 하얗게 ..

미우의 중2병, 그 네번째 이야기.

작품중에 등장하는 '아싸'는 '아웃사이더'라는 신조어입니다. 아이들이 쓰는 말이지요. 반대말로 '인싸'가 있습니다. '인사이더'라는 뜻이지요. 제가 해석하기론 인싸는 인기많음을 뜻하고 아싸는 인기없음을 뜻합니다. 아이들의 신조어도 이해하면 좋겠습니다. 어른들이 모르는 아이들만의 세계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미우의 중2병, 그 두번째 이야기.

경남교육청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예방을 위해 기획한 웹툰, 미우, 그 두번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아...이야기가 이렇게 전개되는 거였군요...물론 이런 경우가 흔한 일은 아닙니다. 요즘 학생들도 학폭의 심각성에 대해 많은 교육을 받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완전 허구의 이야기는 아닙니다. 괴롭힘을 당하는 친구가 가족들, 친구들, 선생님, 신고센터에 직접 말하기 힘든 현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3편이 기다려 집니다.

학교폭력, 장난이 아닌 현실입니다.

경남교육청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예방하기 웹툰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린이는 너무나도 유명하신, 현, 한겨레 그림판을 연재 중이신 권범철 작가님이십니다. 이전에 경남도민일보에도 근무하셨던 분이지요. 개인적으로 친분도 있는 분입니다. 총 10편이 업로드 됩니다. 해서 저도 블로그를 통해 홍보에 동참하기로 했습니다. 미우는 극중 캐릭터로 학교폭력을 극복하는 인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작품이 학폭을 너무 극단적으로 묘사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도 처음엔 그리 느꼈구요. 누군가에게는 장난일 수 있습니다. 허나 그 장난이, 누군가에게는 잊지 못할 상처가 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학교에서 친구들 사이의 폭력도 있어서는 안되겠지만 가정폭력 또한 무시할 수 없습니다. 밖에서..

장대익 교수의 <다윈의 서재>를 읽었습니다.

저는 소위 말하는 문과출신입니다. 적성을 알아서가 아니라 학창시절, 단지 수학이 싫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학창시절의 과목 점수가 뭣이라고 문과 이과를 선택해 인생이 이렇게 펼쳐질지 상상도 못했습니다. 문과 출신(?)이라 그런지 사회인이 되고 나서도 수학, 과학은 딴세상 이야기였습니다. 수학, 과학은 학자들의 연구대상일 뿐이지 제 삶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고 말하고 다녔습니다. 헌데 를 읽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 이 책은 구성 자체가 재미있습니다. 분야별 당대 최고의 학자들을 초대해 인터뷰하고 대화를 나누는 형태입니다. 그렇다면 분야별 초대된 대상자들은 누구인가? 다윈이 살아 있다면 다윈의 서재에 꽂혔을, 다윈이 읽었을 책을 쓴자들입니다. 즉 연구하고 논문만 쓴 학자들이 아니라..

김민숙작가의 <싱글 브릿지>를 읽었습니다.

김민숙작가의 를 읽었습니다. 지난 주에 다쳐서 병원에 입원 중입니다. 입원을 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병원은 그리 유쾌한 곳이 아닙니다. 특히 수술 후 꼼짝하지 못하고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경우는 더 심합니다. 기껏 할 수 있는 것은 손가락으로 리모컨 버튼을 누르며 별 의미없는 TV채널을 끊임 없이 돌리는 것이나 폰을 통해 세상을 엿보는 것 정도 입니다. 시간이 참 느리게 흐릅니다. 해서 어느 순간부터 병문안 오신다는 분들께 읽을 책을 좀 갖다달라 부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놀라운 일이 생겼습니다. 김민숙 작가님께서 직접 병문안 오셔서 작품에 쾌유를 바란다는 친필사인까지 해주신 것입니다. ​ 김민숙 대표님은 이미 알고 지냈던 사이였습니다. 허나 이 분이 소설책을 세권이나 쓴 작가신지는 몰..

어느 날 변두리 마을에 도착했습니다. 서평

돈 없는 우리가 부자보다 더 행복할 수 있다고? ​ 를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039;남해의 봄날&#039; 출판사에서 나온 새책입니다. 제목부터 저의 호기심을 자극했습니다. &#039;변두리 마을? 마을에 도착한 것이 왜?&#039; 궁금한 마음을 안고 책장을 넘겼습니다. 제목만 보고 특정 마을을 소개하는 책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사실 책의 중간 즈음을 읽을 때 까지도 마을 공동체를 자랑하는 책 같았습니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나니 저자의 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마을 공동체를 소개하고 자랑하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누구나 원하지만 기준이 다른 행복, 누구나 알고 있지만 감히 행하지 못하는 행복을 위한 방법을 경험적으로 체득하고 풀어쓴 책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저자는 &#039;과연..

중학생 아이들의 세월호 5주기 추모 방법..

2019년 4월 16일 밤 8시.. 경남꿈키움중학교에서는 아이들이 준비한 특별한 모임이 있었습니다. 세월호 5주기 추모 모임이 그것입니다. 저녁 8시가 되자 아이들이 시청각실로 하나 둘 모였습니다. 학생회에서 준비한 세월호 추모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자리에 참석한 아이들은 학생회장의 간단한 설명과 함께 학생회에서 준비한 세월호 관련 영상을 시청했습니다. 시사동아리 세알내알 친구가 준비한 세월호 관련 PPT도 함께 봤습니다. 그리곤 자신이 느끼는 세월호 일에 대해..유가족 분들께 하고 싶은 말들을 손편지로 옮겼습니다. 실내 행사가 끝난 뒤 아이들은 운동장에 초를 들고 모였습니다. 초를 친구들과 나누는 아이들... 초를 나눠 가진 후 아이들은 한명씩 나와서 자신이 세월호 사건을 보고 느낀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