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청보리가 읽은 책 202

워킹맘을 계속 해야 할까요? 위킹맘의 마음을 헤아린 책을 소개합니다.

SNS 닉네임이 ‘이틀’이라는 분이 계십니다. “무슨 뜻이지?” 답을 알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하루를 이틀처럼 산다’는 뜻이었습니다. 바로 호기심이 들었습니다. “왜? 왜 하루를 이틀처럼 살아야 되는 거지?”. 이 분은 흔히 말하는 ‘위킹맘(일과 육아를 함께 하는 여성)’이었습니다. 직장에선 직원으로, 가정에선 엄마로 사는 분이셨습니다.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분께서 ‘다들 그리 살지 않아? 그게 뭐 어때서? 남들도 다 그렇게 사는데.’라고 생각하신다면 특별히 덧붙일 내용은 없습니다. 우선 밝히자면 저는 남성입니다. 아빠이고 신랑이지요. 저는 ‘워킹파’라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저희 아내님도 ‘워킹맘’이십니다. 아내님을 나름 돕는다고 생각해고 살아왔지만 저도 워킹맘의 속마음을 몰랐습..

이런 질문, 해도 되나요? 참 좋은 성교육 책을 소개합니다.

"용감하게 성교육, 완벽하지 않아도 아는 것부터 솔직하게" 책표지에 적혀 있는 문장부터 당당했습니다. 저도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가정에서 성교육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고민 중이었습니다. 이 책은 저에게 대단한 지식을 전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지식보다 더 큰 것을 주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자신감'입니다. 이 책은 '성알못'(성을 대해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자칭하시는 평범한 엄마께서 성교육 전문가인 심에스더님에게 거침없고 솔직하게 성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그 답변을 모아서 역은 책입니다. 우선 내용이 쉽습니다. 전문용어도 등장하지만 심에스더님의 성교육에 대한 소신처럼,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합니다. "요즘 성교육 책은 어떻지?"라는 호기심으로 처음 책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4시간 동안 책..

초6부터 고3까지, 난생처음 배낭여행!

2018년 12월, 초6부터, 고3까지, 대만으로 난생처음 배낭여행을 떠났습니다. 라온제나 길위의 학교 이야기 입니다. 지역독립출판사인 '주남책방'에서 나온 신간입니다. 이 책은 저에게도 의미가 깊습니다. 제가 처음으로 추천사를 쓴 책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을 다 읽은 후 썼던 추천사를 소개합니다. 15박 16일, 처음 만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처음 만난 어른 두 명과 같이 대만으로 배낭여행을 떠났습니다. 18회 라온제나 길위의 학교 이야기입니다. 여행을 기획하고 길잡이 역할을 하신 설미정샘과 김샘은 많은 일을 하시는 분들입니다. 사실 두 분의 본업이 뭔지 불분명합니다. 워낙 벌리는 일이 많아서요. 평소에는 동네의 홀몸 어르신들을 위해 쌀 나눠드리는 일도 하고 저소득가정 아이들에게 밑반찬도 나..

손승휘 작가님의 '푸른 늑대의 다섯번째 겨울'을 읽었습니다.

손승휘 작가님 글, 이재현님 그림의 신간, 을 읽었습니다. 손승휘 작가님의 책은 처음 접했습니다. 지은이 소개부터 흥미로웠습니다. 소개드립니다. 그는 강아지와 고양이를 사람보다 좋아한다. 지금까지 고양이만 열두친구를 떠나 보냈다. 장미는 생후 2개월에 그에게 와서 열세 살에 떠났다. 스미레는 생후 2개월에 와서 열두 살에 집을 나갔다. 처음 나가서 여태 소식이 없다. 다만, 닮은 아이를 발견했다. 저자는 결국 장미와 스미레에 대해서 쓰기 시작했다. 그는 겨울이 오면 거리의 아이들을 걱정하고, 비가 내리거나 눈이 오면 그 걱정은 더 커진다. 올 겨울은 또 어떻게 지낼까. 온통 이런 생각으로 머릿속이 가득하다. 늘 터전을 사람들에게 온통 점령당한 아이들의 하소연이 들리는 듯 하다고 안타까워한다. 지은이 소개..

섬을 좋아하시는 분들께 추천합니다.

최정선 작가의 을 읽었습니다. 시민기자로도 활동 중인 그가 470개 정도 되는 통영의 섬 중 유인도인 41개 섬을 직접 방문해 쓴 책입니다. 쉽게 입도할 수 없는 곳이 대부분이지만 섬을 알리고 섬이 행복하게 유지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책을 집필했다고 합니다. 특이한 것은 작가의 고향은 통영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부산이 고향인데 결혼을 하며 통영으로 왔습니다. 지역 출신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지역에 이만큼 애정을 가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통영 섬에 대한 작가의 애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책을 굳이 분류하자면 여행 에세이 정도 되겠습니다. 인적이 드문 섬들을 방문해 아름다운 사진과 감수성 넘치는 문장들로 엮었습니다. 섬에 들어가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돼 여행 가이드책으로도 손색이 없습니다. 바다가 하얗게 ..

장대익 교수의 <다윈의 서재>를 읽었습니다.

저는 소위 말하는 문과출신입니다. 적성을 알아서가 아니라 학창시절, 단지 수학이 싫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학창시절의 과목 점수가 뭣이라고 문과 이과를 선택해 인생이 이렇게 펼쳐질지 상상도 못했습니다. 문과 출신(?)이라 그런지 사회인이 되고 나서도 수학, 과학은 딴세상 이야기였습니다. 수학, 과학은 학자들의 연구대상일 뿐이지 제 삶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고 말하고 다녔습니다. 헌데 를 읽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 이 책은 구성 자체가 재미있습니다. 분야별 당대 최고의 학자들을 초대해 인터뷰하고 대화를 나누는 형태입니다. 그렇다면 분야별 초대된 대상자들은 누구인가? 다윈이 살아 있다면 다윈의 서재에 꽂혔을, 다윈이 읽었을 책을 쓴자들입니다. 즉 연구하고 논문만 쓴 학자들이 아니라..

김민숙작가의 <싱글 브릿지>를 읽었습니다.

김민숙작가의 를 읽었습니다. 지난 주에 다쳐서 병원에 입원 중입니다. 입원을 해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병원은 그리 유쾌한 곳이 아닙니다. 특히 수술 후 꼼짝하지 못하고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경우는 더 심합니다. 기껏 할 수 있는 것은 손가락으로 리모컨 버튼을 누르며 별 의미없는 TV채널을 끊임 없이 돌리는 것이나 폰을 통해 세상을 엿보는 것 정도 입니다. 시간이 참 느리게 흐릅니다. 해서 어느 순간부터 병문안 오신다는 분들께 읽을 책을 좀 갖다달라 부탁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중, 놀라운 일이 생겼습니다. 김민숙 작가님께서 직접 병문안 오셔서 작품에 쾌유를 바란다는 친필사인까지 해주신 것입니다. ​ 김민숙 대표님은 이미 알고 지냈던 사이였습니다. 허나 이 분이 소설책을 세권이나 쓴 작가신지는 몰..

어느 날 변두리 마을에 도착했습니다. 서평

돈 없는 우리가 부자보다 더 행복할 수 있다고? ​ 를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039;남해의 봄날&#039; 출판사에서 나온 새책입니다. 제목부터 저의 호기심을 자극했습니다. &#039;변두리 마을? 마을에 도착한 것이 왜?&#039; 궁금한 마음을 안고 책장을 넘겼습니다. 제목만 보고 특정 마을을 소개하는 책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사실 책의 중간 즈음을 읽을 때 까지도 마을 공동체를 자랑하는 책 같았습니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나니 저자의 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은 마을 공동체를 소개하고 자랑하는 책이 아니었습니다. 누구나 원하지만 기준이 다른 행복, 누구나 알고 있지만 감히 행하지 못하는 행복을 위한 방법을 경험적으로 체득하고 풀어쓴 책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저자는 &#039;과연..

사랑모아독서대상 대회에서 대상을 받은 서평을 소개합니다.^^;

2018/12/27 - [마산 청보리' 사는 이야기] - 학이사에서 주최한 사랑모아독서대상 서평공모전에 응모했습니다. 그런데! 남해의 봄날에서 출간한 ‘동전 하나로도 행복했던 구멍가게의 날들’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예전에 샀던 책인데 이제야 읽었습니다. 그전에 남해의 봄날에서 출간한 ‘우리가 사랑한 빵집 성심당’을 읽었습니다. 그 책을 읽고 성심당 이야기 뿐 아니라 함께 사는 삶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성심당의 역사 뿐 아니라 성심당의 철학이 깊이 와 닿았기 때문입니다. 그 때부터 남해의 봄날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번에 읽은 책도 설레는 마음으로 펼쳤습니다. ‘그림이 너무 예쁘다. 책이 따뜻하다.’는 평은 익히 들어서 알고 있었습니다. 여유로울 때 읽으려고 아껴두었던 책입니..

펄북스의 '동네 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를 읽었습니다.

2018/12/27 - [마산 청보리' 사는 이야기] - 학이사에서 주최한 사랑모아독서대상 서평공모전에 응모했습니다. 그런데! 책을 왜 읽는가? 저도 책을 좋아하는 사람 중 한명입니다. 그렇다고 자주, 많은 책을 읽지는 못합니다. 허나 책 읽을 때, 책 내용에 몰입했을 때, 마지막 책장을 덮을 때의 즐거움을 압니다. 해서 항상 손에 책을 들고 있지는 못하지만 제 손이 닿는 곳에는 책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책을 많이 읽지 못했습니다. 우연히 서평 공모전을 알게 되었고 평소 지역 출판사 책을 찾아 읽는 편이라 기회다 싶어 골라두었던 책을 펼쳤습니다. 펄북스에서 나온 ‘동네도서관이 세상을 바꾼다.’는 책이었습니다. 잠시 소개드리자면 펄북스는 지역에서 30여년 동안 토박이 책방으로 자리 잡은 ‘진주문고’의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