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청보리가 읽은 책

밥 잘 먹고 똥 잘 싸게 해 주십시오.

마산 청보리 2014. 2. 5. 11:08

교수를 그만두고 귀농한 전 철학과 교수 윤구병 작가의 책이다. 이 책을 읽으며 동시에 <꼭 같은 것보다 다 다른 것이 더 좋아>(윤구병, 보리)라는 책도 봤다. '꼭 같은 것보다 다 다른 것이 더 좋아'는 청소년들에게 철학적 사고를 편지글 형태로 쉽게 전달하고 자 쓴 책이다. 어른들이 보기에도 전혀 무리하지 않다. 그 책을 정독한 후 <잡초는 없다>를 읽었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의 세계관을 조금 더 이해 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가슴 설레는 책이었다.

 


▲ 잡초는 없다. 윤구병 저, 보리 출판사 오래된 책이다. 그만큼의 친숙함과 낯섦이 느껴진다. 우리가 잊고 사는 것에 대해 담담히 풀어내고 있다. 강추한다. 
ⓒ 김용만 

저자는 지금의 세계는 잘못되어도 한참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교육도 잘못되었고 농사도 잘못되었고, 먹거리도 잘못되었고, 사회의 중요한 가치도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해서 자신이 생각하는 바른 사회를 위해 정년이 보장된 교수직을 그만두고 전라도 변산으로 내려와 공동체마을을 꾸리게 된다.

모든 농민들이 비닐을 이용하여 농사를 짓고, 제초제를 뿌리고 농약을 뿌릴 때 변산공동체마을에서는 그 어떤, 몸에 좋지 않는 것은 첨가하지 않고 순수하게 농사를 짓기 위해 노력한다. 필요한 것이 있으면 남들이 버린 것을 주워 재활용하고, 자신들의 똥과 오줌을 모아 퇴비를 만들고 논에는 우렁이를 풀었다. 주위 어른들로부터 걱정스런 조언도 듣고 몸도 훨씬 고되지만 끝까지 바른 농사를 고집한다. 잡초라고 무심코 뽑았던 풀이 알고 보니 유익한 풀이었다는 것을 알고 안타까워하기도 한다.

'지렁이가 우글거리는 살아있는 땅에서 저절로 자라는 풀들 가운데 대부분은 잡초가 아니다.' p. 91

변산공동체마을은 어렵긴 하지만 뜻 깊게 유지되어 간다. 수많은 매스컴에서 취재를 요청하고 수많은 사람들이 구경 오고 싶다고 해도 마을에선 받아주지 않는다. 단 끝까지 오고 싶다고 하면 3박 4일 같이 농사일을 한다면 와도 좋다고 한다. 놀러오는 사람 맞이할 정도로 여유도 없거니와 보여주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에서이다.

지금껏 우리나라에 공동체 마을이 여럿 시도되어 왔으나 실패한 중요한 이유가 경제적 자립이라는 것을 알고 이 부분의 성공을 위해 노력한다. 아직 몇 안 되는 마을 사람들과 함께 공동으로 의논하고 저녁은 모두 같이 먹고, 돈도 같이 관리하며 생활한다. 한 마디로 공동체 마을을 운영하는 귀농 일기라고 봐도 무관할 듯싶다.

윤구병 교수가 철학가 출신이라 그런지 상당히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바른 방향에 대한 제시를 많이 한다.

'그러고 보니 현재 우리 학교 제도도 공장과 비슷하다. 저마다 다른 학생들의 소질과 소망과 능력과 취향을 무시하고 공부하는 기계로 만들어 내는 경향이 없지 않다. 학생들은 미래를 꽃 피울 소중한 씨앗들이고 그 씨앗들은 저마다 서로 다른데 하다못해 한 콩깍지에서 나온 콩이라도 자라면서 달라지는데, 어쩌자고 꼭 같은 나사못으로 깎아내려고만 들까. 그리고 나도 무엇에 홀려 그런 일에 앞장서 왔을까?' p.20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는 다같이 '기른다(育)'는 뜻이 담겨 있다. 기르는 일은 만드는 일과는 다르다. 인격, 사람다운 모습을 길러지는 것, 양성되는 것이지 빚어지는 것, 형성되는 것이 아니다.' p.28

'(자녀들에게) 한 권의 책을 읽히더라도 주인이 쓴 글을 읽혀야 하고, 손님이나 종이 쓴 글을 읽히지 말아야 한다……. 아이들에게 또래 아이들이 쓴 글을 먼저 많이 읽혀야 한다는 말에는 주인이 쓴 글을 읽어야 스스로도 주인 의식이 생긴다는 뜻도 담겨있다.' p.39

'좋은 세상이란 별게 아니다. 있을 것이 있고 없을 것이 없는 세상이 좋은 세상이다.' p.43

'버리지 않는 삶은 버릴 것이 없는 삶, 검소하고 무엇이든지 아끼는 생활 태도의 반영이다. 아껴야 쌓이는 것이 있고, 쌓이는 것이 있어야 남에게 베풀 여유도 생긴다고 보면 안 될까? 그리고 물건을 아끼다 보면 사람 아끼는 마음도 생긴다고 보면 안 될까?' p.120

'자연에는 쓰레기가 없다……. 현대 문명은 쓰레기 문명이라고 불러도 좋다……. 새 것이 아닌 것은 비록 어제 만든 것이라도 기능이 떨어지고, 효율성이 낮고 유행에 뒤진 것이라는 관념을 심어주어 끊임없이 내다버리도록 부추긴다는 점에서도 쓰레기 문명이라고 할 수 있다.' p.123

'살아있는 개펄을 죽이고 그 위에 세울 쓰레기 문명이 우리에게 무슨 도움이 될 것인가?' p.126

'물건의 내용 보다 포장이 더 그럴 듯해야 팔리고, 포장보다 광고가 더 그럴 듯해야 더 많이 팔리는 이런 세상에서 정직하고 부지런하고 성실한 사람을 길러내려는 교육자는 발붙일 곳이 없다.' p.135

'다른 사람들과 경쟁할 생각 말고 빠진 고리가 무엇인지 잘 살펴서 그 고리를 메워주는 방식으로 장삿길을 찾아라.' p182

특별한 책이었다. 읽는 내내 무릎을 몇 번을 쳤는지 모른다. 교육에 관한, 아니 이 땅의 자라나는 아이들을 키우는 어른들에 관한 따끔한 충고들이 많이 있다. 책의 말미에는 변산공동체 학교를 방학 때 짧은 기간 동안 운영했다고 적혀 있다. 정식 교과 과목만이 아닌 살아가면서 익혀야 할 다양한 것들, 산살림, 들살림, 갯살림, 토목 등 기초살림을 가르치는 학교로 말이다. 특별히 교사는 없다. 공동체 식구 모두가 농부이자 교사다. 결국 윤구병 교수는 살아있는 농촌, 살아있는 아이를 통해 살아있는 대한민국을 꿈꾸고 있는 것이다.

오래된 책이다. 1998년에 세상을 본 책이니 이미 15년이나 된 책이다. 어찌 15년 전의 책속에서 지적한 교육의 문제가 2013년도에도 별반 달라진 것이 없으니 작가의 선견지명에 탄성을 질러야 할지 대한민국의 구조적 모순에 한숨을 지어야 할지 쉽게 판단이 서질 않는다. 15년 전 아이들이 지금은 어른이 되었다. 세상은 얼마나 변하였는가? 세상 탓만 하는 우리들에게도 경종을 울린다.

현재도 변산공동체 학교는 꾸려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윤구병 교수는 아이들을 위한 동화책도 집필하시고, 세상을 향한 쓴 소리를 마지않는 철학적인 책들도 계속 내고 계신다. 올 1월에는 경남 거제도에서 있었던 '생명토크 세 번째 이야기'에 오셔서 거제의 학부모님을 만나고 가시기도 하셨다.

시대적 대세는 경쟁이고 돈이다. 많은 사람들은 돈이 다가 아니라고 말을 하지만 돈의 매력을 쉽게 떨쳐내진 못한다. 왜 말은 돈이 다가 아니라고 할까? 과연 경쟁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살지 못하나? 왜 한국 교육이 문제다라고 말할까? 바른 사회란 어떤 사회일까? 그리고 그 대안은 뭘까?

윤구병교수를 만나보라. 당신이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아무런 생각이나 고민 없이, 들리는대로, 보이는대로만 믿고 자라왔다면 놀라움을 느낄 것이고 낯섦에 대해 자주 부딪혔고 고민을 해 보고 자랐다면 또 다른 대안을 확인 하게 될 것이다. 윤 교수의 말씀이다.

"만드는 문화보다 기르는 문화에 더 큰 힘을 쏟아야 한다. 만드는 것은 자본주의적 생활양식이고 기르는 것은 공동체적 생활양식이다. 더 이상 많이 만들어서 버리는 삶이 아닌 바로 길러 모두 주인이 되는 삶을 살자."

어떤가? '혼자 꾸면 단순한 꿈이지만 모두가 함께 꾸면 현실이 된다.' 꿈의 현실화에 동참할 뜻은 없는가?

잡초는 없다 - 10점
윤구병 지음/보리

반응형